낙향한 선비의 술 "손처사하일주"에 대하여

조회 수 4632 추천 수 181 2006.03.24 18:03:53
손처사하일주


제조법을 적기 전에,

이 술은 뭔가 사연이 있는 술빚기라 생각든다. 손처사(孫處士)..손자 손, 곳 처, 선
비 사.....쉽게 이해할 수 없는 술 이름이라 "손처사하일주"를 가지고 하룻동안 생각한 적도 있다. 술 이름도 그렇지만, 제조법 또한 독특한 술빚기를 하고 있어 지금껏 빚어왔던 주방문의 공식을 깨고 있다.

처사(處士) 사전적 의미로는 '세상 밖에 나서지 않고 조용히 묻혀 사는 선비'란 뜻을 가진 단어이다. 술의 이름을 '처사하일주'라고 했으면 이해가 빨랐을 텐데 '손처사하일주'라 하여 '孫'자가 하나 더 붙는다. 손(孫)의 의미는 손자, 자손, 겸손하다, 달아나다. 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는 "달아나다"의 뜻이 어울리지 않을 까 생각해본다.

달아나다....조용히 묻혀사는 선비...그리고 여름에 빚는 술....

세상을 등지고 조용히 살고 있는 선비가 여름에 빚는 술..^^ 풀이가 길지만 꽤나 재밌는 이름임에 틀림없다.

손처사하일주가 기록되어 있는 문헌은 1450년대의 <산가요록>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550년 전에 쓰여진 것이다.

술빚는 법은 이렇다.

1. 멥쌀 1말 5되를 물에 담갔다가 씻어 작은 항아리에 담는다.
2. 베로 아가리를 봉해 가마솥 속에 넣고 약한불로 물을 넣어가며 익힌다.
3. 다 익었으면 하룻밤을 보낸다.


하룻밤 지나 향기가 나면 꺼내서 동이 안에 쏟아 식힌다.

1. 식힌 밥과 누룩 1말 5되를 섞어 앞의 작은 독에 넣고 밀봉한다.
2. 즉시, 멥쌀 5말을 물에 씻어 푹 쪄서 식힌다.


다시 하룻밤 두었다가..

1. 누룩 1말 5되와 밑술을 고르게 섞어 술독에 담는다.
2. 베로 아가리를 잘 봉해둔다.


10월 이후에 술이 만들어지는데 해가 지나도 뿌옇게 되지 않으니 신묘하다.기록하고 있다.

제조법을 보면, 밑술에서 독특한 방식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쌀을 불린 상태에서 독에 넣어 중탕하여 익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주조법을 본 일이 없어 무척 난감했다.

보통 중탕이라 하면, 다 빚어진 청주를 약재와 섞어 병에 넣어 중탕하는 방식인데 여기서는 쌀 자체를 중탕으로 익히고 있다. 즉, 찌거나 삶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열(熱)로 익히는 것이다.

쌀은 물을 흡수하여 불려진 상태이고, 물을 넣어가며 중탕하는 방식이기때문에 쌀은 독 안의 열에 의해 곧 익게 될 것이다. 삶거나 증기로 찌는 것 보다는 오래 걸리겠지만 충분히 가능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누룩의 양에서는 원문을 보지 않아 모르겠으나 잘못 기록된 것이 아닌가 한다. 왜냐하면 "덧술할때 앞의 작은 독에 넣고"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은 멥쌀을 넣어 중탕했던 독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멥쌀 1말 5되와 누룩 1말 5되를 섞으면 부피가 2배가 되기때문에 앞의 독에 다 담을 수가 없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누룩 1되 5홉을 잘 못 적은 것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그래야 "앞의 작은 독에 넣고"가 들어 맞기 때문이다.

<산가요록>의 술빚기에서 누룩의 양은 대부분 쌀 양의 20~30%정도, 물 양의 10~20% 정도가 들어가는데 비해 "손처사하일주"의 경우는 물은 거의 들어가지 않고 쌀 양의 거의 50%에 가까운 누룩이 들어간다.

그런데 밑술의 누룩의 양이 1되 5홉이라면, 쌀의 양에 비해 누룩이 30%정도가 들어가 다른 술빚기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물론 내 자신이 기존의 제조법을 맹신한 나머지 끼워맞추기를 할 수도 있다고 보기때문에 개인적인 생각으로 밝히는 것이다.

또한, 여름철 술빚기라 술이 잘못될 것을 염려하여 누룩의 양을 많이 넣을 수도 있겠지만, 손처사하일주는 물이 거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술이 크게 실패하지는 않을 것이다. 여름철 "감주(甘酒)" 처럼 "손처사하일주"도 술이 다 되었을 때, 달고 맛있는 술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10월 이후에야 술이 된다고 하였으니 7,8월에 술을 빚어 2-3달 후에 술이 되는 것 같다.

제 생각은 이러한데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지요..


추신 : 편의를 위해 존칭어를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이상훈

2006.03.28 10:33:13
61.81.1

몸이 좋지 않아 추가로 찾지는 않습니다.
단지 누룩양만은 확인했습니다.
원문에 누룩은 1말 5되가 맞습니다.
그것도 누룩이 아닌 누룩가루입니다.

酒人

2006.03.28 23:22:22
125.188

쌀 1말 5되와 누룩 1말 5되....

좀 더 시간을 갖고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무섭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51519
944 주말 잘보내세요. [1] 이지예 2019-08-25 4808
943 6월 18일(토) - 막걸리 파티 (서울 난지캠핑장) [5] 酒人 2011-06-10 4804
942 [생방송 obs- "전통주와 감흥로주에 대한 류인수 소장님 인터뷰"] file 누룩 2014-09-16 4803
941 2014년 1월 우리술빚기과정 수강생모집(마감) file 누룩 2013-10-08 4801
940 비가 오니 시원하네요. [1] 이영훈 2019-08-27 4789
939 알콜농도측정기구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1] 빅툴 2013-02-25 4781
938 술독 4기졸업여행 ....폭풍속으로 메아리속으로 file [1] 빈술항아리 2011-06-27 4778
937 제 2기 전통주 최고지도자과정 모집안내 (마감) file 누룩 2013-05-07 4773
936 술공식다운받기 file 酒人 2014-03-18 4770
935 제 4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모집안내 file [1] 누룩 2013-06-13 4767
934 복분자 구입처(고창선운산농협) [1] 酒人 2006-07-13 4767
933 <b>술독 누룩전문교실 - 마감되었습니다. </b> [34] 酒人 2007-03-15 4763
932 6기 졸업식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사진) file [1] 酒人 2012-01-08 4761
931 전통 가양주 빗는법 시우러브 2012-01-01 4733
930 12월 20일(화) 한국가양주연구소 - 가양주인의 밤 [9] 酒人 2011-12-07 4730
929 바람 많이 부네요. [1] 이지예 2019-09-07 4729
928 고두밥 질 때 사용하는 삼베천 구입처 file 오렌지컴 2015-08-19 4729
927 도소주에 대하여............. [2] 酒人 2006-03-13 4729
926 전통주소믈리에과정 - 국비지원 수강생 모집(마감) file 누룩 2013-02-05 4725
925 18년 동안 전통주 사랑을 이어 온 사람 酒人 2006-02-09 4716
924 식품산업 미래비전 심포지엄 계획 file 누룩 2012-01-30 4695
923 삼양주 용수박다!^^ file [2] 라퓨타 2011-11-08 4687
922 9월 8일 현장학습 (단체사진 모음) file 酒人 2012-09-12 4681
921 제 5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모집안내 file 누룩 2013-10-16 4678
920 가양주연구소 네이버카페 개설을 알립니다 약손 2012-09-07 4657
919 술탐방 사진들입니다.^^ file 酒人 2013-02-18 4656
918 전라도 술에 대하여... [2] 한상숙 2006-05-19 4655
917 090726(일) 가양주 시음회 이야기_광교산 자선농원 [1] 피자배달 2009-08-29 4651
» 낙향한 선비의 술 "손처사하일주"에 대하여 [2] 酒人 2006-03-24 4632
915 9월달이네요. [1] 이지예 2019-09-01 4625
914 13기 졸업식 - 김학용 명창 초대 공연 酒人 2013-07-18 4614
913 <b>김정순님께서 술독에 기증해 주신 돌절구</b> file [3] 酒人 2007-03-25 4603
912 술독 제 1기 초보자 교육 3월 11일 일요일 [35] 酒人 2007-02-08 4600
911 증편 만들기 도움 [4] 베가스도사 2010-03-25 4570
910 우리의 맛을 즐기는 101가지 막걸리 수첩 file [1] [1] 모수 2010-08-15 4562
909 즐거운 명절 되십시오. 약손 2012-09-28 4560
908 아카시아 술이 완성되었습니다. [3] 酒人 2006-06-26 4555
907 도토리술 용수 박은 모습 file 酒人 2006-11-14 4511
906 <b>답글 : 동동주 맛은 이렇습니다.^^</b> file 酒人 2007-11-16 4507
905 술바치의 넋두리 1탄 !! 전통주 교육도 국비지원 안되나요? 키키자케시(사케 소믈리에) 교육에서는 지원을 해준다는데... [2] [1] 술바치 2010-07-08 449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