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조회 수 5808 추천 수 0 2012.04.22 23:09:31

 

酒人님~~

안녕하세요~!

여쭐게 있답니다.^^

 

술독의 자료를 토대로 몇가지의 술을 담아보고 있답니다.

 

밑술은 두가지 방법으로 만들었는데요.

=>하나는 멥쌀가루를 송편만들때처럼 반죽해서 구멍떡&강원도 감자떡모양으로 빚어서 

끓는 물에 삶아내서 만들었구요.

=>또 한가지는 범벅으로 만들었답니다.

 

근데 술끓는 소리와 거품의 차이가 크네요?

 

현재는 덧술을 한지 일주일이 되어 소리가 사그러들었는데요...

=>범벅밑술로 담은 건...힘이 느껴지기도 하며 오케스트라를 연상케하는 소리가 들리고

=>떡밑술은 파도에 생겨난 포말이 삭아지며 내는 소리랄까?

싸~~하는 균일한 소리가 나요...저음으로..말이죠.

그러면서도 왕성한 활동력이 느껴져요.

 

음..이제부터 질문이랍니다.

같은 멥쌀가루로 만든건데요(차이라면  범벅밑술은 넘치긴 했어요)

근데 끓는 소리가  이렇게 다른 이유가 뭘까요?

그것이 너무 궁굼하구요.

어떤술이 나올지도 궁굼하구요...^^

당도랄까..입안에 감도는 느낌이 이 소리와도 연관이 있는 것일까...하는

궁굼증도 있구요...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꿈 꾸세요...

 

 

 

 ps..

사진을 활성화 할려면 태그만 되나봐요?

어리버리..ㅋ파일로 올렸습니다..

 

 

 범벅밑술-덧술7일경과.jpg 삶은떡밑술-덧술7일경과.jpg

 

 

 


酒人

2012.04.23 03:29:33
*.74.136.95

술 빚는 것을 즐기시네요.^^

잘 보셨어요. 술을 빚어야 소리를 알죠
계속 관찰하다보면 이제는 밑술을 어떤 방법으로 가공했냐를 소리만 들어도
알 수 있을거에요.

술 끓는 소리는 호화도에 따라 다릅니다.

가장 가는 소리를 내는 것은 죽
그 다음이 구멍떡
그 다음이 범벅
그 다음이 고두밥입니다.

입자가 곱고 잘 익을수록(호화도) 곱고 가는 소리가 납니다.
반대로 입자가 굵을수록 거칠고 톡톡 튀는 소리가 납니다.

그런데 소리가 곧 술 맛을 결정하진 않아요. 어떤 방법으로 밑술을 만들던
덧술의 가공방법과 양에 따라 술의 맛과 향에 큰 차이를 가져오기때문입니다.
즐거운 술빚기하세요.~~^^

* 사진을 활성화 하려면 첨부하시고 오른쪽에 본문삽입을 하면 사진이 올라갑니다.
제가 대신 해 드렸어요. ㅎㅎ

바람의딸

2012.04.27 08:13:06
*.185.3.71

아,,그렇군요..답변 감사합니다.^^*
술빚는 묘미가 이 소리에 있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방앗간이 없는 오지에서 동동주 빚는 방법을 찾으려합니다.
맛있는 단술로 많은 량을 내면서 운치있게 밥알이 동동 떠 있는 그런술입니다.
많은 분들의 로망인가요?^^ㅎㅎ

그런술을 빚으려고 하는데 추천해주고 싶은 방법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초보자가 경험으로 터득하기는 어려움이 많네요.^^;

오늘도 酒人님 발걸음마다 행운이 피어나시길 바라면서 즐겁운 하루 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3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939
682 저온 발효 질문 [1] 오렌지컴 2014-12-07 5927
681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오늘같은내일 2020-10-18 5913
680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913
679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907
678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900
677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899
676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894
675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887
674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887
673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882
672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882
67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881
670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881
669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862
668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848
667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846
666 이화곡 활용 방법 [1] 오오오오 2021-03-11 5840
665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833
664 전통주빚을때혐기성하는시기 [1] 전산할배 2020-10-25 5831
663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824
662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823
661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aladinn 2015-03-06 5821
660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5817
659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816
658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814
»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808
656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805
655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빨간콩 2021-06-18 5795
65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789
653 삼양주방식으로 빚는 복분자주 질문 드립니다 [4] 나라랑 2024-01-24 5782
652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782
651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酒人 2005-09-06 5770
65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755
649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교반기 2018-11-19 5748
648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735
647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5733
646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732
64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731
644 술독 뚜껑 안쪽 면에 맺힌 이슬은요? file [2] anakii 2013-10-24 57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