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빚기 응용능력 키우기 1. 쌀 불리기</b>

조회 수 4850 추천 수 52 2006.11.07 01:32:30
술빚기 응용능력 시리즈는 여러분에게 고기를 잡아 주는 것이 아닌 고기 잡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우리술은 어떤 한 가지 제조법으로 모든 술을 빚을 수 없으며 빚는 사람에 따라, 원하는 색과 맛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빚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 문헌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술빚기 사례를 예로 들면서 각각의 술이 지닌 특징들을 살펴보게 될 것입니다.


술빚기 응용능력 키우기 1 – 쌀 불리기

<수운잡방 1500년에 초>에는 “세신주”라는 술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멥쌀 10말을 여러 번 씻어서 아침 저녁으로 물을 갈아가며 3일간 미리 물에 담가 두었다가 찐다.” 같은 문헌 속 황금주에는 “여러 번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가 두었다가..” 라는 기록이, 어떤 술은 단지 “깨끗이 씻어 가루를 내고” 라고 되어 있어 쌀을 물에 담가 놓는 시간이 정확히 나와있지 않은 술도 있습니다.

이러한 제조법은 <수운잡방> 만이 아닌 거의 모든 문헌 속 술빚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법에 따라 쌀을 물에 담가 두는 시간을 달리하여 빚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세신주와 같이 물에 담가 두는 것으로 부족하여 하루에 두번씩 담가 놓은 물을 갈아 주면서 3일간 물에 담가 놓는 술이 있는 반면에, 황금주와 같은 수 많은 술은 “하룻밤” 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기도 합니다.

또한 <증보산림경제>의 작주부본법(주모만드는법)에는 <쌀 1말을 깨끗이 씻고 물에 담가 겨울에는 열흘, 봄 가을에는 닷새, 여름에는 사흘 동안 불린다. 쌀 속까지 물기가 배면..>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이것은 위에 언급한 술들과는 달리 계절마다 쌀을 물에 담가 놓는 시간이 달라졌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일전에 언급한 <2006 가양주법>에는 쌀을 물에 담가 두는 시간을 3시간 정도면 충분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전체 전통주에 응용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3시간이란, 쌀이 물을 흡수할 수 있는 25-28% 정도의 흡수율(실제 1시간도 안걸림)이 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처음 술을 빚는 사람들을 위해 일정한 시간을 정한것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입니다. 또한, 빚는 술 대부분을 “하룻밤” 정도 물에 담갔다가 술을 빚는 것 또한 정해진 것이 아닌 일반적인 술 제조법을 말하는 것으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수 많은 문헌에 등장하는 술들을 보면 위에 언급한 것처럼 쌀을 불리는 시간도 계절에 맞게 또는 술 빚는 환경에 맞게 달리 해야 하며, 묵은 쌀인지, 햇쌀인지, 사용하는 물의 종류에 따라서, 같은 술을 빚어도 쌀을 불리는 시간을 달리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쌀을 물에 담가 놓는 시간을 달리 하는 것 만으로도 맛과 향이 다른 술을 만들 수 있으며 자신이 술을 빚는 환경에 맞게 응용하여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그럼, 도대체 쌀을 얼마의 시간 동안 담가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답은 1시간이 될 수도 있고, 3시간, 하룻밤, 3일, 심지어는 <1450년 산가요록>에 기록된 여가주와 같이 “찹쌀 1말을… 끓인 물 1동이에 넣어 온돌에 놓고 저고리로 싸둔다,. 3일 후에 꺼내면 그 맛은 썩는 맛이 나고 그 물맛은 시큼하다. 체로 쌀 물을 받쳐내어 데운다.”는 기록에 나와있는 것처럼 아주 독특한 방법도 있습니다. (우리술의 특징을 한 눈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다양성을 단점으로 받아 들이고, 어떤 사람들은 다양성을 장점으로 받아 들이고 잘 응용하여 술을 빚기도 합니다. 전통주를 규격화 시키지 못하는 것을 단점으로 보는 것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장점으로 보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전통주는 ‘가양주’에서 시작한 것입니다. 흔히 가양주를 전통주라고 하기도 합니다. 가양주란 말 그대로 ‘집에서 빚는 술’입니다.

‘집’

여러분의 집집마다, 그리고 남의 집,  모두 생활 환경이 다르고 여러분의 손과  저의 손 크기도 다릅니다. 똑 같이 술을 빚어도 차이가 있게 마련입니다. 우리나라 가양주문화가 발전했던 이유는 이러한 다양성을 인정하고 각 가정마다, 술을 빚는 사람마다 술을 빚을 때 가장 맛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했다는 것입니다.

정해진 시간, 정해진 양, 정해진 온도, 정해진 환경에서 나오는 균일한 맛을 가진 술을 빚으시려면 집 안에 최신식 양조장을 차려야 할 것입니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23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4963
522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4959
521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4957
520 초록색 곰팡이 같은게 좀 보입니다. file [1] 김세용 2022-12-23 4954
519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원삼규 2007-01-10 4946
518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4945
517 효소나효모를어디서사나요??? [1] 공대생 2014-10-01 4944
516 이런 경우도 가능할까요? [1] 둘레길 2013-07-19 4943
515 불패주 거르는 시기 file 느루 2012-12-29 4941
514 [re] 답변입니다. 酒人 2007-09-23 4936
513 고구마술 맛있게 빚고 싶어요 복드림 2009-01-15 4935
512 소주내리기에서.. [2] 2008-10-19 4933
511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4933
510 바보 또 질문 하다~ [2] 두메 2009-02-03 4932
509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酒人 2006-11-06 4932
508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3 4929
507 발효과정에서의 맛 변화 [1] 아보카도요거트 2020-12-08 4928
506 덧술 후 과정... [1] 케팔로스 2018-10-22 4926
505 <b>도정(搗精) 정도의 차이</b> 酒人 2006-10-15 4922
504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2] 푸른별 2014-07-22 4919
503 <b>넌 왜 범벅으로 술을 빚냐~?!</b> 酒人 2006-07-04 4918
502 [re]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2] 酒人 2008-11-04 4916
501 술 담그는 방법에 관한 문의.. 코헨 2008-10-27 4915
500 <b>도토리술 제조법</b> file [1] 酒人 2006-10-29 4911
499 숙성시기 [3] [1] 하제 2013-02-12 4909
498 이 더위에도 맛있는술이 담궈 질런지요 [3] 애주가 2008-06-30 4907
497 덧술을 해야하나 아니면 버려야 하나 [4] 아침에술한잔 2009-03-28 4906
496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4899
495 술 담기 초보 이양주 밑술 시기 궁금증? [1] 오렌지컴 2014-06-25 4897
494 한국에도 화주(火酒)가 있나요? 박보경 2008-07-28 4895
493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4895
492 삼양주 제조 및 채주 관련으로 질문드립니다. [1] 꿈길 2024-02-28 4894
491 청주가 생기지 않습니다. [2] 걷는바람 2013-11-06 4891
490 신맛나는 술 [2] 이선화 2006-08-10 4890
489 막걸리 산미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4884
488 밑술에 막이 생기고 하얀 곰팡이가 피어났습니다. 도와주세요~ [5] 밥상머리 2019-10-22 4867
487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864
486 [선배님들 살려주세요] 첫 막걸지 제조 망한건가요? file [1] 시골필부 2024-03-15 4861
485 석탄주 재료 문의드려요~ file [2] 잠자는뮤 2019-02-14 4859
484 향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행님 2015-06-29 485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