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조회 수 5614 추천 수 0 2018.11.19 14:31:57

가입하자마자 질문부터 남기네요..


당화력 관련해서. 


전분이 당화되어 당분이 생성되는 속도와, 효모가 당분을 소모하는 속도가 일치하면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지금까지 그걸 잘 맞추지는 못하고 있긴 합니다.. 당화는 1~2일 안에 다 이루어지고 발효는 3~4일에 완료되는 패턴..

문제는 당화가 빨리되어 당도가 올라가 발효가 멈추는 현상이 종종 나타나는것입니다.


질문 드리고 싶은것은


1SP 라는 단위는 정해진 실험 조건에서 1시간에 효소 1g이 포도당 10mg을 생성하는것을 말한다고 하는 글을 봤습니다.


이 말은 효소 1g으로 2시간이면 20mg을 생성하고 3시간 이면 30mg, 

즉 시간의 제한이 없다면 효소 1g으로 얼마든지 많은 전분을 당화 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따라서 적은양의 누룩으로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한 것인가요?

예를들어) 이상적인 조건이라 가정하고 10g의 누룩으로도 얼마든지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할까요?


효소는 얼마든지 많은양의 전분을 당화 시킬 수 있는것인지. 아니면 어느정도 당화를 하면 효소가 파괴된다든지 하여 소모되어

일정한 양의 전분을 분해하기 위해선 그에 비례하는 양의 당화효소가 필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두루봐

2018.11.19 20:32:50
*.226.208.223

당화력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알고 계신것 같습니다. 이해하신 대로 당화력은 시간에 비례하고 이론적으로는 말씀하신대로 시간이 걸려서 그렇지 적은 양의 당화제로 많은 양의 전분질을 당화 시킬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해보면 너무 작은 양의 누룩을 쓰면 술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를 경험 합니다.
효소력은 온도, pH, 술덧의 농도 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단순하진 않습니다.
제 생각엔
1. 아무래도 시간이 지나면 당화력이 자연 퇴화되는 것 같고
2. 백국균을 사용 하는 입국은 덜하지만 전통 누룩 효소의 경우 산에 약해(내산성 당화력) 술이 산성이 되면(시어지면) 당화력이 급격히 떨어 집니다. 술은 잘 됐는데 시다라는 말은 모순이란 얘기죠. 결국 시어졌다는 말은 전분질이 최종 단계인 알코올로 제대로 전환 되지 못했다는 거죠.
어떤효소를 말씀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효소제 마다 특성을 숙지 하시고 이론과 실제는 차이가 있기에 많은 시행 착오를 축적 하는게 최선 인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쌀알누룩을 만들고 있는데요 색이~(ㅠ.ㅠ) [1]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 酒人
  • 2007-03-15
  • 조회 수 3971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용수냄새가 나서 [1]

  • 고천
  • 2010-12-06
  • 조회 수 3978

멋진 답변~~~

  • 떳다
  • 2008-10-16
  • 조회 수 3985

진상주를보면서......... [2]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 酒人
  • 2006-08-21
  • 조회 수 3991

[re] 답변입니다. [2]

  • 酒人
  • 2009-03-14
  • 조회 수 3993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 酒人
  • 2007-01-27
  • 조회 수 3995

향기와 맛은 따로 국밥인가요? [1]

범벅에 대하여 [2]

삼양주 담갔습니다. [2]

  • 미얄
  • 2014-09-30
  • 조회 수 4009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 酒人
  • 2006-07-13
  • 조회 수 4022

고맙습니다 [1]

  • yk
  • 2014-02-06
  • 조회 수 4025

질문드립니다! [1]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 비니
  • 2010-12-10
  • 조회 수 4028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걱정했는데... [1]

왜 생막걸리여야만 하나요? [2]

  • mumu
  • 2014-07-14
  • 조회 수 4037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호산춘레서피 질문이 있어요 [2]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떡으로 막걸리 빚을 수 있나요? [1]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 酒人
  • 2007-03-17
  • 조회 수 4063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 술향
  • 2010-02-10
  • 조회 수 4065

가입인사 드립니다. [1]

  • jun
  • 2015-01-31
  • 조회 수 4068

문의좀 드립니다 [1]

삼양주 씨앗술 사용양 [4]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고두밥과 밀가루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