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조회 수 5738 추천 수 0 2020.07.07 10:01:53

안녕하세요 !! 항상 술을 만드는데 있어 도움주심에 감사드립니다 ㅎㅎ


현재 오양주와 삼양주 각각 거른 뒤 가수하지않은채로 냉장숙성하어 청주만 떠낸상태입니다


전내기가 각 4리터씩. 술지게미도 4키로정도씩 있습니다 !


그리고 술지게미만 3키로 남아있는 것도 있습니다.


1. 전내기 4리터. 술지게미 4키로가 있을때 도수 8~10도정도의 탄산감있는 막걸리를 만들고자하는데. 찹쌀과 물. 누룩을 얼마나 넣어야할지 아무리 찾아봐도 감이 안잡힙니다 ㅠㅠ 찹쌀. 물. 누룩을 얼만큼 더 넣어야할까요? 비율이 어떻게되나요?


2. 술지게미만 3키로 있는 친구도. 술지게미를 이용할경우 누룩앙만 조금 줄이고 단양주 만드는 비율로 다시 담구면 되는것일지.. 쌀 물 누룩 비율을 어떻게 잡아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전내기의 도수는 각 18도를 넘습니다.

* 술지게미는 냉동해놓은 상태입니다.

* 각각 거른 후 1달정도 김치냉장고 2도 온도에서 보관했습니다.


도와주십시오 ㅠㅠ 감사합니다 !!


도원

2020.07.07 15:30:42
*.149.116.45

우선 삼양주 오양주를 얼마나 담그셔서 전내기, 지게미 양이 저렇게나 나오셨나요? 저 같이 10리터짜리 소량 양조인에겐 전내기와 술지게미양이 어마어마 하네요.
본론으로 들어가서 전내기 도수가 18도 정도 된다면.. 같은 레시피로 물양을 2배 정도 하시면 원하시는 도수로 맞춰지지 않을까요?
허나 요즘 같은 날씨에 물양이 많아지게 되면 쉽게 변질 될 수 있으니,
그냥 같은 레시피로 양조하시고 후에 물을 섞어 도수 맞추는게 제일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술지게미는 냉동 시키면 다시 사용가능한가요? 저온보관은 가능한걸로 아는데, 냉동 했다가 해동해도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괜찮으면 보관 문제 때문에 저도 앞으로 냉동 해야겠어요.

여튼 제 짧은 지식으로는 전내기와 지게미를 사용해서 술을 빚으시려 한다면 처음에 누룩을 넣지 않고 빚어 하루 정도 경과를 지켜보시고 효모 생성이 잘 된다면 구지 누룩은 추가 하지 않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하루정도 지켜보시고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 하지 않는다면 그때 누룩을 기존 레시피에 1/2 정도 넣어보는 걸 고려해보시면 좋을거 같아요.

술빚는요리사

2020.07.11 01:21:23
*.131.168.104

앗 안녕하세요 ! 댓글 감사드립니다.
우선 댓글에서 질문 말씀드리면, 쌀 10 물 8정도의 흑미주에서 술지게미가 5키로 정도 나왔고 (흑미로 고두밥했습니당) 삼양주 두통 빚을때 지게미는 쌀 6키로정도에 지게미가 2키로정도 나왔어요! 예전에 알아봤을때 다른 분들보다 많이 나왔던걸로 기억해여 광목천이어서 그런건지, 주조법이 잘못된건지, 아마 잘못된거겠져? 헿

냉동보관은 서적으로나 공식적인 자료로 찾아보고자 했으나 그런건 없었고, 다른 막걸리빚는 블로그 하시는 분들 글 보면 냉동하여도 효모의 힘 (질이려나요?)은 약해지더라도 정상발효는 되었다고 하니 가능할 것 같습니다. 오늘 해동했고 내일 술빚을 예정이니 확인할 수 있겠네요 !

탄산이 많은 막걸리를 원하기에 단양주의 배합?으로 술을 빚을 예정인데 전내기와 지게미를 함께 써서 탄산감있는 막걸리를 빚는 레시피는 본적이 없어서..뭐 해봐야죠 .. 조언 감사드립니다!!

도원

2020.07.11 20:34:01
*.149.116.45

전내기 및 찌게미에는 효모만 있는게 아니고, 다른 좋은 균들도 많이 있는걸로 압니다. 냉동으로 사멸되는 좋은 균들이 있어서 냉동은 권장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잇어요. 보관은 얼지 않는 가장 낮은 온도로 하는 걸 추천드리고,
주조하신 술들이 다들 지게미가 많네요. 이유는 고두밥 찌는 시간이 짧았거나, 발효 기간이 너무 짧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흑미 같은 경우엔 맵쌀로 취급하시면 안되고, 현미로 분류 하셔야 합니다. 고두밥을 지으시면 호화가 잘 안되서 발효가 더디거나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지게미가 많이 나오신걸 수도 있어요.
흑미의 경우, 분쇄하여 죽이나 설기를 지어 술을 담그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탄산이 많은 막걸리를 빚고 싶으시면 효모생성 이틀동안 저어주신 후 부터 거르기 전까지 완전 밀봉을 하시면 탄산이 술 속에 다 녹아 들어 많은 탄산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단, 내압병을 사용하셔야 하고 내압병을 사용하지 않으시면 발효 중 터질 수도 있는 점 주의하세요!
그리고 청주가 고이기 전에, 너무 빨리는 말고 하루나 이틀 정도 전에 미리 걸러서 내압병에 밀봉 병입 하시면 숙성하는 동안에도 계속 이탄이 발생해서 폭발감 있는 탄산을 느끼실 수 있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3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786
682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5785
681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5777
680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770
679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756
678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753
677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와이즈먼 2024-01-18 5739
676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739
»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738
674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728
673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오늘같은내일 2020-10-18 5727
672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726
671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723
670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718
669 저온 발효 질문 [1] 오렌지컴 2014-12-07 5716
668 증식기때 알콜생성? [1] sul4u 2013-07-07 5716
667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708
666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706
665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701
664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694
663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691
662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688
661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662
660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5659
659 전통주빚을때혐기성하는시기 [1] 전산할배 2020-10-25 5652
658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650
657 이화곡 활용 방법 [1] 오오오오 2021-03-11 5645
656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636
655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636
654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635
653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aladinn 2015-03-06 5630
652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빨간콩 2021-06-18 5625
651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619
650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611
649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610
648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603
647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578
646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574
645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573
644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교반기 2018-11-19 55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