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하우스막걸리, 관심 끝까지 갖자.

조회 수 2270 추천 수 0 2015.10.14 11:31:10

하우스막걸리, 관심 끝까지 갖자.


하우스막걸리의 핵심은 진입장벽을 낮춰 손쉽게 창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정책의 성공여부가 달려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발효조의 용량 3000리터로는 진입장벽을 낮출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칫 장비업자들만 살고 나머지는 죽는 막걸리 붐 이후에 막걸리 업계에 진출해서 큰 손해를 본 사람들과 다를 바 없을 것이다.


1.jpg


(자료 : 통계청, 한국가양주연구소, 단위 백만원)


2006년 이후 음식점업 매출은 2013년 기준 51% 정도 성장한데반해 주점및비알콜음료점업의 성장은 34.5%에 그치고 있다. 이 중에서 주점및비알콜 음료점업의 매출은 34.5% 성장했지만 오히려 주점업의 매출은 감소하고 음료점업의 매출이 증가하게 된다. 즉 주점업 전체 산업이 큰 타격을 받고 있는다는 것이다. 이 주요 원인은 2009년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국내내수침체로 이어졌기때문이다. 만약 이대로 간다면 주점업이 문제가 아니라 양조업계 자체의 뿌리가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만들어서 판매할 곳이 없어지고 있기때문이다. 이 시점에 하우스막걸리(가제) 제도가 도입을 앞두고 있어 이 글을 쓰고자 하는 것이다.


2.jpg


(자료 : 통계청 , 한국가양주연구소, 단위 개)


2006년 이후 비알콜 음료점의 업체수는 빠르게 증가하는데 반해 주점업체수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26%정도 업체수가 늘어났지만 2009년 이후 업체수 -6.5%로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2009년 세계경기침체에 따른 국내내수시장침체가 가장큰 원인이다. 즉 사람들은 경기가 어려워져 주점업 창업보다는 음식점업이나 비알코올 음료점업에 더 관심을 갖는 것이다. 이렇게 주점업 자체가 흔들리고 있는 이 시점에 하우스막걸리는 침체된 우리술 시장에 활력을 가져올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런데 진입장벽이 높아지면 그 효과는 확연히 사라지게 될 것이다.


왜 뜬금없이 주점업을 들고 나왔냐고 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 주점업에서 술을 판매하지 않는가. 이 술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런 문제가 있다. 즉 주점업체수가 많아져야 전체 술 시장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이유 아래) 정부는 단순히 하우스막걸리만 보겠지만 더 멀리보면 전통주 전체 업계를 살리는 일이다.


1. 업체수가 많아지면 하우스막걸리 업체는 자신의 술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주를 취급하는 업체들이 늘어날 것이다.
2. 업체수가 늘어나야 전토주 제조업체들의 이익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3. 당연히 유통업체에게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하우스막걸리는 단순히 가양주를 산업화 하는 것 쯤으로 착각해서는 곤란하다.


정부는 이번 하우스막걸리 법제화 과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은 업체의 입장이 아니라 하우스막걸리 업체수가 최대한 늘어날 수 있도록하여 우리술 시장의 수요처를 많이 확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소비자에게 판매할 곳이 많아야 양조장도 살고 유통업도 살아갈 수 있다. 어렵게 만들어지는 법률이니만큼 진입장벽을 낮춰 우리술 산업활성화에 본 법안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발효조의 용량을 500리터 정도로 규제를 낮춰야 한다.


양조장들도 본 제도를 반대만 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시대가 이런 쪽으로 향하고 있고 내년에는 본 제조가 시행된다. 필자는 분명 본 제도를 통해 진입장벽이 낮아지면 당연히 전통주 제조업체에게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본 제도가 잘 정착될 수 있도록 이제는 서로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위 그래프에서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 주점 업체수가 늘어나지 않으니 주류업계가 힘들 수밖에 없지 않은가. 하우스막걸리가 제도가 하루 빨리 진입장벽이 낮은 형태로 정착될 수 있도록 다 함께 노력하자.





 
출처 : 술독닷컴  글작성 가양주연구소 류인수
전통주배우기,전통주연구소,가양주연구소,가양주만들기,전통술




weed

2015.10.14 11:59:48
*.194.14.99

시효는 가양주이지만, 현대에 가양주의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하우스 막걸리"의 법제화가 중요하고, 법제화의 내용 중 발효조의 용량 기준이 중요합니다. 가양주는 명절 등 집안 행사의 사용을 위해 빚어졌지만, 현대에 집에서 이를 재현할 수는 없는 환경입니다. 방법은 '하우스 막걸리'라고 생각합니다. 양조장으로는 우리 술문화의 큰 특징인 다양성을 재현할 수 없습니다. '하우스 막걸리'를 통해 다양성을 확보하고, 더하여 우리 술의 시장우위를 점하고, 다양한 술을 빚는 곳들이 규모를 갖추어 간다면, 우리 술을 자연스럽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류인수 소장님의 말씀과 같이 허가 기준 용량을 대폭 낮추는 방향으로의 입법화가 핵심입니다. 3,000L는 가양주라는 우리 술의 과거와는 너무나 거리가 먼 큰 용량입니다.

어떻게 활동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모이면 지혜가 나오고, 지혜를 가지고 행동하면 우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겠지요.

술 빚기 초보자 이기에 틀린 내용도 있을 것 같아 조심스럽습니다. 너그러이 봐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고양시, 일산문화공원에서 제13회 대한민국 막걸리축제 개최

고양시, 일산문화공원에서 제13회 대한민국 막걸리축제 개최 최종복 기자 (bok7000@ajunews.com) | 등록 : 2015-09-18 09:49 | 수정 : 2015-09-18 09:49 --> [고양시제공] 아주경제 최종복 ...

  • 누룩
  • 2015-09-21
  • 조회 수 2172

2015년 최고의 막걸리와 전통주는?

2015년 최고의 막걸리와 전통주는?조선닷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mw0422@chosun.com입력 : 2015.11.26 09:00 2015년 우리술 품평회 대상 수상작 소개. 제1부 느린마을 라이트 막걸리 다사다난했...

  • 누룩
  • 2015-11-30
  • 조회 수 2175

농식품부, 조은술 세종 등 ‘찾아가는 양조장’8개 신규 선정

농식품부, 조은술 세종 등 ‘찾아가는 양조장’8개 신규 선정 [헤럴드경제=배문숙기자]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찾아가는 양조장’ 8개소를 신규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찾아가는 양조장은 지역 양조장에 환경개선, 품질관리, 체험프로그램 개선, 홍보 등...

  • 누룩
  • 2015-07-20
  • 조회 수 2176

'하우스 막걸리' 시대 열렸다…세부 규정 '착착'

'하우스 막걸리' 시대 열렸다…세부 규정 '착착'[조세일보] 이현재 기자 이메일 : rozzhj@joseilbo.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보도 : 2016.02.15 10:22 수정 : 2016.02.15 10:22 --> --> ...

  • 누룩
  • 2016-02-15
  • 조회 수 2183

[아시아 술 대탐험] 조선 3대명주 ‘감홍로’ 이기숙 명인 “‘선친의 유산’ 대 이어 물려줄 것”

[아시아 술 대탐험] 조선 3대명주 ‘감홍로’ 이기숙 명인 “‘선친의 유산’ 대 이어 물려줄 것” 作者: 최정아 on August 3, 2015. 类别: 1. 한반도, 4. 문화, ALL 무더운 여름, 갈증을 해소시키는데 한 잔의 술보다 더 좋은 벗이 있을까? 소주, 맥주, 위스키, 보...

  • 누룩
  • 2015-08-03
  • 조회 수 2187

[대구경북] 기차타고, 경주 명품 축제 보러가자!

▲ 지난해 경주 떡과 술잔치를 찾은 관광객들이 부대행사인 골든벨 퀴즈에 참여하고 있다. ⓒ2012 CNB뉴스▲ CNB뉴스, CNBNEWS, 씨앤비뉴스 (재)경주문화재단이 추석 명절을 맞아 축제와 연계한 기차여행 상품을 선보이는 등 대대적인 축제 홍보에 나선다. 그 첫 ...

  • 약손
  • 2012-10-02
  • 조회 수 2203

"마셔보고 구입하세요" 국내 최초로 소개되는 주류전문점 방문해보니

매그넘 더 바틀샵(MAGNUM the bottle shop) 와인, 위스키, 맥주는 물론 전통주까지… 직접 마셔보고 구입할 수 있어 아시아 최대 규모 와인시음기 보유, 한 번에 100여 종의 주류 시음 가능 박물관처럼 전문가가 해당 국가, 지역에 관한 배경과 특징 등 전문적...

  • 누룩
  • 2015-04-22
  • 조회 수 2206

소규모 지역 막걸리 양조장이 대기업과 경쟁해 살아남는 방법은?

최근 들어 서점가에서 다시 읽기 열풍이 부는 고전 경제학 서적이 있다. 약 150년 전의 자본주의 모순을 담은 내용. 잉여가치란 재화가 소수에게 과도하게 쏠리면 빈부 격차가 일어나고, 빈부격차를 이겨내지 못하는 다수는 혁명을 일으킨다는 내용, 세계적인...

  • 누룩
  • 2013-10-24
  • 조회 수 2221

스키장서 아이스크림 팔아 '대박'…전통주 팔 곳 없을 땐 역발상으로 뚫어라!

정해나 혜윰 대표 "전통주 판매·마케팅 고민" 여성시대 톡톡방 (4) 계난경 동학식품 사장이 전수하는 성공비법 “스키장에서 아이스크림을 팔자는 얘기를 처음 꺼냈을 때 주변에서 미쳤다고 했어요. 그런데 실제로 해보니까 너무 잘 팔립니다. 좋은 제품을...

  • 누룩
  • 2015-01-28
  • 조회 수 2232

내년부터 '하우스 막걸리' 시대 열린다

내년부터 '하우스 막걸리' 시대 열린다 [세법개정안]소규모 전통주류 제조면허 신설…소규모 음식점에서 막걸리 제조, 판매 가능해져머니투데이|세종 입력 15.08.06. 13:31 (수정 15.08.06. 13:31) [머니투데이 세종=정현수 기자] [[세법개정안]소규모 ...

  • 누룩
  • 2015-08-07
  • 조회 수 2245

“전통주산업 육성… 농촌살리기 해법으로” [1]

“전통주산업 육성… 농촌살리기 해법으로” 우리술 저변확대 앞장 김재수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 김재수 aT 사장은 “농가에서 담가 먹는 가양주만 육성해도 농촌인구가 늘고 농가소득이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지난 1일 오후 서...

  • 누룩
  • 2013-01-17
  • 조회 수 2250

한국농어민신문 "전통주 인터넷 판매, 수수료·주세 개선을"

▲ 전통주 인터넷 판매가 중간 수수료와 주세부담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상업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통주. 판매 허용’ 1년, 매출 늘었지만 마진폭은 크게 줄어들어 ‘12%’ 달하는 플랫폼 수수료 판매가에 매기는 주세도 부담 "남...

  • 누룩
  • 2018-06-21
  • 조회 수 2260

하우스막걸리, 관심 끝까지 갖자. file [1]

하우스막걸리, 관심 끝까지 갖자. 하우스막걸리의 핵심은 진입장벽을 낮춰 손쉽게 창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정책의 성공여부가 달려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발효조의 용량 3000리터로는 진입장벽을 낮출 수 없을 뿐만 아니라 ...

  • 酒人
  • 2015-10-14
  • 조회 수 2270

우리술의 맛, 집에서 만드는 전통주 [1]

한국도자재단 "우리그릇 보러오세요"..할인판매도 진행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 산하 한국도자재단은 10월27일부터 11월18일까지 여주에 위치한 도자쇼핑문화관광지 '도자세상'에서 도자기 애호가를 위한 '산더미 우리 그릇전'을 개최한다.   '...

  • 누룩
  • 2012-10-26
  • 조회 수 2274

경기도에서 제주도까지… 전통주 갤러리, 3월 테마주는 전국 팔도 '찾아가는 양조장'

지난 달 인사동 KCDF 건물에 문을 연 전통주 갤러리는 하루 평균 40~50여 명의 내·외국인 관광객과 업계 관계자들이 찾는 명소가 됐다. 주말이면 몰려드는 방문객들로 잠시도 쉴 틈이 없다는 게 운영을 맡은 관계자들의 말이다. 전통...

  • 누룩
  • 2015-03-04
  • 조회 수 228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