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이코노믹리뷰][ER궁금증] 원래 한국술 청주, '온(溫)주'서 '냉(冷)주'로 바뀐 사연

조회 수 2130 추천 수 0 2021.05.20 14:29:47

1986년 등장한 롯데칠성음료 '청하(淸河)', 냉(冷)청주 및 한국 술 인식 대중화


전지현 기자 / 입력 2021.05.11 14:28


531564_440129_2646.jpg


[이코노믹리뷰=전지현 기자] 쌀·누룩·물을 원료로 빚어낸 맑은 술 '청주'. '청주'의 사전적 정의는 그 뜻 그대로 '맑은 술'입니다. 똑같이 쌀로 빚었으나 맑지 않은 탁주와 비교해 붙어진 이름인데요. 유럽의 '와인', 일본의 '사케' 등이 있다면 한국엔 '청주'가 꼽힐만큼 대표 술 중 하나이기도 하죠.

일본에서는 청주를 국주(國酒)로 여기며 전 세계 청주시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청주를 일본 고유의 술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청주는 삼국시대에 백제의 인번이라는 사람이 일본으로 건너가 그 제조법을 전달했으며, 인번이 전한 양조법이 발전해 지금의 일본 청주로 이어지고 있죠.

이 같은 우리 술 청주가 과거엔 따뜻하게 데워먹던 술이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조선시대에는 청주를 약주로 부르기도 했습니다. 고려시대 의학서인 '신라법사방'에는 온주, 즉 따뜻한 술을 약용으로 쓰기도 했다는 기록이 전해오는데, 여기서 말하는 따뜻한 술이 곧 청주입니다.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청주는 오랜 기간 동안 '따뜻하게 마시는 술'이란 '온(溫)청주'로 인식됐습니다. 그러나 1986년에 등장한 '청하'가 이 같은 인식을 바꿉니다. 청하는 알코올 도수 16도, 용량 300ml의 청주 제품으로 한국에 처음 선보여진 '냉(冷)청주'였는데요.

롯데칠성음료 주류사업부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두산주류에서 '청하'를 내놓기 전까지만해도 청주는 데워 마시는 것이란 인식이 뚜렷했습니다. 하지만 '청하'는 그간 '온청주' 형태로 겨울철에만 주로 마시던 주종이었던 청주를 사계절 내내 즐겨 마시도록 만든 냉(冷)청주로 주류 시장을 바꾸는 데 일조를 하죠.

15도 이하 저온에서 발효시키고 냉각 여과장치로 쓴 맛과 알코올 향을 제거해 잡미와 잡향이 적고 깔끔한 맛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합니다. 낮은 알코올 도수의 맥주와 높은 알코올 도수의 소주 사이에서 마땅한 선호 주종을 찾지 못하던 소비자를 중심으로 음용층이 꾸준히 늘게 됩니다.

출시 첫해인 1986년 767㎘(약 256만병)을 시작으로 연평균 90% 이상 성장세를 보였고, 이듬해에는 1,312㎘(437만병), 1988년에는 2,100㎘(700만병)가 판매되는 등 주류 시장에 안착합니다. 청하는 1990년대 후반 1년에 8,000만병 가까이 판매되며 현재까지 약 14억병이 넘는 판매고를 올렸습니다.

덕분에 청하는 30여년이 지난 오늘까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냉청주로 국내 주류 시장에 자리매김하고 청하로 인하 청주는 '냉청주'로 인식됩니다. '청하' 성공에 힘입어 국산 브랜드인 '금관청주'의 '만향'(1987년 출시), '경주법주'의 '슈퍼 淸'(1992년 출시) 등의 냉청주도 출시됩니다. 동시에 청주류에 대한 주세율 인하 등에 힘입어 국내 냉청주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1989년부터 3년간 전년대비 92.7%, 99.1%, 90.5%씩 늘었죠.

그렇게 '청하'는 전체 냉청주 시장의 약 98%를 점유하며 국내 냉청주 시장 1인자로 자리잡습니다. 이에 힘입어 '청하'는 일본(1989년), 호주(1990년), 미국(1992년), 대만(1994년), 중국(1996년) 등 국가에 진출하며 국산 청주 위용을 세계 시장에 떨치죠.


531564_440130_2727.jpg

롯데칠성음료 과거 청하 포스터. 출처=롯데칠성음료.



'청하'는 음주 트랜드 및 소비자 입맛의 변화 등에 발맞춰 지속적인 레시피 변경과 패키지 디자인 변화 등 제품 리뉴얼과 송혜교, 한지혜, 신세경, 박소담, 청하 등 맑고 깨끗한 청하의 이미지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모델들을 이용해 더욱 소비자 곁으로 스며듭니다.

여기에 멈추지 않고 지난 2014년에는 '청하' 출시 후 약 30여년간의 라벨 변천사(1990년대 후반, 2000년대초반, 후반, 2014년 운용 제품)를 알아볼 수 있는 제품도 등장하는 데요. 레트로 감성의 '청하 4본입 기획팩'을 한정 출시해 중·장년층 소비자 향수를 자극하고, 젊은 소비자들에게 청하 제품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게 됩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앞으로도 한국을 대표하는 청주로서 소비자 입맛에 맞는 레시피 개발 및 소비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말했습니다.

1986년 출시 이래 30여년 이상 소비자 사랑을 받고 있는 '청하'. 오늘도 혼술, 혼주를 즐기시는 분이라면, 청주를 대한민국 술이라는 인식과 차갑게 마시며 대중화되도록 만든 '청하'의 사연을 생각하며 하루의 피로를 풀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출처 : 이코노믹리뷰(https://www.econovill.com)
출처 :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315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이화선 대표 "34만종 전통주 복원, 농촌경제 살릴것"

홍보전문가서 전통주 연구가 변신 이화선 대표 "한국의 전통 가양주(집에서 빚는 술)가 모두 34만 종이 넘는다는 걸 아세요? 변화무쌍한 맛과 숙취 없는 깔끔함이 전통주의 경쟁력이죠." 술과는 어울리지 않는 단아한 분위기의 전통주 연구가 ...

  • 누룩
  • 2014-06-16
  • 조회 수 2313

맥주가 맛있는 집.. 이유가 있었네~~

No Stress Beer!! 관리 잘된 생맥주 인기 --> 본격적으로 생맥주 소비가 늘어나는 시즌이 돌아왔다. 수입맥주 소비량이 늘어나고 해외여행 등 다양한 맥주를 경험한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맥주 맛이나 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까다로워지고 ...

  • 누룩
  • 2013-06-11
  • 조회 수 2313

(위기의 막걸리산업②)한국의 와인산업?..법은 오히려 '역행'

살균약주제조 면허권 기준 강화..영세업체 진입장벽만 높여 국세청 시행 종가세..양질 술 제조에 '걸림돌' 지적 입력 : 2012-09-11 오후 4:52:00 [뉴스토마토 오세호기자] 정부가 막걸리 산업을 한국의 와인산업으로 양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지...

  • 누룩
  • 2012-09-12
  • 조회 수 2312

이동필 "하우스 막걸리 도입·고급 브랜드화 추진"

이동필 장관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2월말까지 빈논에 밀·보리 대규모 경작…식량자급률 1.4%P 높여" "쌀협상 WTO 3월부터 첫라운드 시...

  • 누룩
  • 2015-01-26
  • 조회 수 2302

[프레시안] 양양 양지술곳간, 지역 대표 전통주 제조업체 도전 file

고급 디자인으로 전통주 가치 높여 전형준 기자(=양양) | 기사입력 2020.11.17. 16:19:37 강원 양양군 강현면에 소재한 농업회사법인 ㈜양지술곳간(대표 김정녀)이 신제품으로 약주와 탁주를 선보이며 지역을 대표하는 전통주 제조업체에 도전한다...

  • 누룩
  • 2020-11-19
  • 조회 수 2297

'맥주의 꽃' 맥주 거품, 제대로 알고 즐기자 [1]

맥주마다 맛과 향이 다르듯 맥주 거품에도 특징 있어 ▲호가든[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맥주 거품은 '맥주의 꽃'이라고 불릴 정도로 맥주를 즐기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맥주 거품은 맥주를 맛있게 보이게 할 뿐 아니라 맥주 표면이 직접 공기에 닿...

  • 누룩
  • 2013-03-18
  • 조회 수 2294

[라이프 스타일] 이 맛난 우리술 마셔봤나···전통주 전문가들이 딱 8개 뽑았다

[출처: 중앙일보] 이 맛난 우리술 마셔봤나···전통주 전문가들이 딱 8개 뽑았다 전통주 전통주라고 불리는 ‘우리술’이 일상 속에 자리 잡고 있다. 아재들이나 마시는 고리타분한 술이라는 기존의 이미지에서 탈피해 쿨하고 트렌디한 술로 자리매김한 분위기다....

  • 누룩
  • 2020-02-28
  • 조회 수 2292

우리술의 맛, 집에서 만드는 전통주 [1]

한국도자재단 "우리그릇 보러오세요"..할인판매도 진행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 산하 한국도자재단은 10월27일부터 11월18일까지 여주에 위치한 도자쇼핑문화관광지 '도자세상'에서 도자기 애호가를 위한 '산더미 우리 그릇전'을 개최한다.   '...

  • 누룩
  • 2012-10-26
  • 조회 수 2284

경기도에서 제주도까지… 전통주 갤러리, 3월 테마주는 전국 팔도 '찾아가는 양조장'

지난 달 인사동 KCDF 건물에 문을 연 전통주 갤러리는 하루 평균 40~50여 명의 내·외국인 관광객과 업계 관계자들이 찾는 명소가 됐다. 주말이면 몰려드는 방문객들로 잠시도 쉴 틈이 없다는 게 운영을 맡은 관계자들의 말이다. 전통...

  • 누룩
  • 2015-03-04
  • 조회 수 2282

하우스막걸리, 관심 끝까지 갖자. file [1]

하우스막걸리, 관심 끝까지 갖자. 하우스막걸리의 핵심은 진입장벽을 낮춰 손쉽게 창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정책의 성공여부가 달려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발효조의 용량 3000리터로는 진입장벽을 낮출 수 없을 뿐만 아니라 ...

  • 酒人
  • 2015-10-14
  • 조회 수 2271

한국농어민신문 "전통주 인터넷 판매, 수수료·주세 개선을"

▲ 전통주 인터넷 판매가 중간 수수료와 주세부담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상업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통주. 판매 허용’ 1년, 매출 늘었지만 마진폭은 크게 줄어들어 ‘12%’ 달하는 플랫폼 수수료 판매가에 매기는 주세도 부담 "남...

  • 누룩
  • 2018-06-21
  • 조회 수 2263

“전통주산업 육성… 농촌살리기 해법으로” [1]

“전통주산업 육성… 농촌살리기 해법으로” 우리술 저변확대 앞장 김재수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 김재수 aT 사장은 “농가에서 담가 먹는 가양주만 육성해도 농촌인구가 늘고 농가소득이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지난 1일 오후 서...

  • 누룩
  • 2013-01-17
  • 조회 수 2255

내년부터 '하우스 막걸리' 시대 열린다

내년부터 '하우스 막걸리' 시대 열린다 [세법개정안]소규모 전통주류 제조면허 신설…소규모 음식점에서 막걸리 제조, 판매 가능해져머니투데이|세종 입력 15.08.06. 13:31 (수정 15.08.06. 13:31) [머니투데이 세종=정현수 기자] [[세법개정안]소규모 ...

  • 누룩
  • 2015-08-07
  • 조회 수 2246

스키장서 아이스크림 팔아 '대박'…전통주 팔 곳 없을 땐 역발상으로 뚫어라!

정해나 혜윰 대표 "전통주 판매·마케팅 고민" 여성시대 톡톡방 (4) 계난경 동학식품 사장이 전수하는 성공비법 “스키장에서 아이스크림을 팔자는 얘기를 처음 꺼냈을 때 주변에서 미쳤다고 했어요. 그런데 실제로 해보니까 너무 잘 팔립니다. 좋은 제품을...

  • 누룩
  • 2015-01-28
  • 조회 수 2234

소규모 지역 막걸리 양조장이 대기업과 경쟁해 살아남는 방법은?

최근 들어 서점가에서 다시 읽기 열풍이 부는 고전 경제학 서적이 있다. 약 150년 전의 자본주의 모순을 담은 내용. 잉여가치란 재화가 소수에게 과도하게 쏠리면 빈부 격차가 일어나고, 빈부격차를 이겨내지 못하는 다수는 혁명을 일으킨다는 내용, 세계적인...

  • 누룩
  • 2013-10-24
  • 조회 수 2227
XE Login